흔히 두 돌 이전의 아이들은 멀미를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러나 어린아이들도 멀미를 합니다. 차를 탈 때 아이가 아무 이유 없이 불편한 기색을 보이거나 하품을 자주 하며 얼굴이 창백해진다면 주의 깊게 봐보세요. 아직 자기표현이 서투른 아이들은 멀미를 하더라도 증상을 자세히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부모들은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아이들의 멀미, 증상과 원인 대처법과 예방에 대해 이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멀미의 증상
멀미의 대표적인 증상은 속이 메슥거리는 것과 구토입니다. 소화가 안되고 체기를 느끼며 식은땀과 침을 흘리기도 합니다. 어지럼증을 느끼고, 속이 메스껍다고 하거나 얼굴이 창백해지며 두통을 호소하다 토하기도 합니다. 아직 말로 자신의 상태를 표현할 수 없는 아기들은 얼굴이 창백해진 채 안절부절못하거나 하품을 하며 우는 것으로 불편함을 드러냅니다.
멀미의 원인
멀미는 눈이 보내는 신호와 귓속에서 평행감각을 유지하려는 신호가 뇌에 서로 다르게 전달될 때 생깁니다. 몸 속의 여러 신경조직은 서로 협력하여 뇌에 몸 상태에 대한 정보를 끊임없이 전달하지요. 그러나 자동차와 배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우리 몸에 자기 의지와는 무관한 움직임이 생길 때, 평소와는 다른 새로운 신호가 생기고 서로 얽히며 멀미라는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눈과 귀와 뇌가 따로 놀 때 멀미가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머리의 잦은 움직임, 지속적으로 느껴지는 일정한 자동차의 진동, 구불구불한 길을 달리는 차 등의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흥분한 신경세포들이 뇌의 중추신경에 반사되어 구토와 메스꺼움을 유발합니다.
보통 갓난아기일 때는 멀미를 못 느끼다 2~3세 무렵부터 멀미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세 이상의 유아나 소아는 전정기관이 발달하여 차를 탈 때 익숙하지 않은 감각끼리 서로 충돌하며 멀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아이들은 주로 뒷좌석에 앉기 때문에 앞을 보기 힘들어 더 멀미가 잘 생기는 편입니다. 신체는 달리는 속도감을 느끼지만, 눈은 앞 좌석에 가려 속도의 변화를 제대로 느낄 수 없기 때문에 멀미가 생기는 것입니다. 멀미했던 경험이 있는 아이 또한 '차를 타면 멀미한다'는 예측을 하게 되어 더 쉽게 멀미를 하기도 합니다.
어린아이에게 멀미약 먹여도 되나요?
만 2세 이하의 아이에게는 멀미약은 사용하면 안됩니다. 멀미약의 주요 성분인 스코폴라민은 신경 마취 성분이라 자율신경 중 부교감신경을 억제해 증상을 완화합니다. 때문에 아이에게 사용하면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어린아이에게는 멀미약을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 7세 미만의 아이에게는 짜먹는 형태의 어린이 전용 멀미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에 거부감을 느끼는 아이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맛과 향이 투약하기 쉽게 나와있지요. 또한 어린이 전용 멀미약엔 스코폴라민 성분이 들어있지 않아 비교적 안심하고 먹일 수 있습니다. 귀밑에 붙이는 패치형 멀미약에는 스코폴라민 성분이 있기 때문에 8세 미만 아이에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멀미약은 예방 효과만 있기 때문에 차에 타기 전 최소 30분~1시간 전에 미리 먹어야 효과가 있습니다. 멀미가 난 상태에 먹으면 아무 효과가 없으므로 유의하세요.
멀미 예방법
- 차에 타기 전 미리 준비해놓으면 좋습니다. 멀미가 날 때는 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므로, 아이가 자는 시간에 맞춰 출발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 차에 타기 직전 너무 배불리 음식을 먹이는 것은 피합니다. 위에 부담이 가면 멀미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차의 내부 온도는 되도록 시원하게 유지하고, 환기도 수시로 시켜줍니다. 멀미가 걱정된다고 최대한 차를 태우지 않는 것보다 멀미가 생길만한 환경 조건을 제거해 아이가 차 타는 것에 점차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달리는 차 안에서 옆을 보면 멀미가 더욱 심해지므로 차창에 가리개를 설치해 아이의 시선이 앞으로 향하도록 합니다. 카시트에 앉았을 때 머리가 좌우로 흔들거리지 않는지도 체크합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책을 보거나 장난감을 보는 것은 시선이 한 곳에 모아지기 때문에 멀미에 좋지 않습니다.
- 아이의 멀미가 심하면 차를 멈추고 시원한 공기를 마시게 하며 잠시 쉬어가는 것도 좋습니다.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찬물이나 씹을 수 있는 크래커 종류의 과자를 조금 먹입니다. 시원한 물수건을 머리에 얹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토하려고 한다면 참게 하지 말고 편안하게 토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토한 다음엔 입안을 헹궈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합니다.
'자녀 양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건강 정보 아기 월령별 치아 발달과 관리법 (2) (14개월~ 만5세 치아 발달 관리) 불소치약 언제부터 사용할까 (0) | 2025.05.20 |
---|---|
아기 건강 정보 아기 월령별 치아 발달과 관리법 (1) (0~14개월 치아 발달 치아 관리) (0) | 2025.05.20 |
아기 건강 정보 소아 뇌성마비 증상 원인 치료 (0) | 2025.05.18 |
아기 건강 정보 아이에게 상처가 났을 때 치료 대처법 (손톱 상처, 찰과상, 베였을 때, 찔렸을 때) 습윤밴드 메디폼 사용법 (0) | 2025.05.15 |
아기 건강 정보 아이가 벌레에 물렸을 때 대처법 (모기, 벌, 개미) (0) | 2025.05.12 |